본문 바로가기
INFO/모바일

통신비 아끼는법

by 움파룸파3 2020. 8. 9.

우리는 바야흐로 제 4차산업혁명 시대 속에 접어들었다.

주변에 노트북,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웨어러블 이어폰 등등 수 많은 전자기기들에 파묻혀 살고 있다.

블로그 혁명으로 글쓰기가 대두되었던 2000년 초반에 이어 이젠 유튜브가 쏘아올린 공으로 영상혁명속에 살아가고 있다. 

아무렴 뭐가 중요하나. 옛 석기시대나 삐까뻔쩍한 건물들이 즐비한 21세기나 모두 잘먹고 잘사는게 1순위겠지.

현대인들의 걱정 속에는 돈, 일, 행복이 있다. 그 중에서 돈걱정을 뜯어보면 매달 나가는 고정지출이 여간 부담이 아닐때가 많다. 

 

오늘은 그래서 고정지출 중에 꽤나 짜증나는 부분인 통신비에 관해서 써보려고 한다.

 

통신비 호갱되는법

 

 

통신비는 핸드폰 사용에 관한 총 한달 지출비라고 하겠다.

 

우리는 핸드폰을 사용하기 위해서 '핸드폰기기'를 얻어야하고 그 기기에 '요금제'를 연결시켜야한다.

 

많은 분들이 낚이는 부분이 바로 '핸드폰기기'를 구매하는 과정이다.

 

수 많은 대리점이나 온라인폰쇼핑몰은 모두 공짜폰 광고를 허다하게 한다.

문제는 뭐다? 세상에 공짜는 없다~ (고객이 요금제 가입시 인센티브를 해당 업체에서 떼먹음)

 

왜 공짜폰을 줄 수 있냐 하면은, 비싼 요금제를 강제로 최소 3개월에서 1년은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핸드폰 기기값이 50만원일 경우의 예를 들어보자.

 

ex1. 공짜폰 + 요금제 약정 7만원짜리 1년 

ex2. 기기값 50만원 자가부담 + 요금제 자유선택가능

 

1번을 보면 총 지출금액은 요금제약정 1년간 84만원이 나온다.

2번을 보면 기기값 50만원에 어떤 요금제를 쓰냐에 따라 50+@가 나온다.

 

2번에서 이득을 보려면 1년에 34만원 아래의 요금제를 써야한다는 단순계산이 나온다.

그럼 그냥 1번을 쓰는게 이득일 수도 있지 않을까?

여기까지는 이과적 계산이고, 좀 더 현실적으로 들어가보자.

 

현실적인 ex1. 기기할인도 아니라 공짜폰일 경우에는 이미 단종된 x쓰레기 제품일 확률이 매우 높다.

현실적인 ex2. 기기할인이라고 한다면 매달 최소 고정지출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인 ex3. 아무튼 여차저차 다 계산해서 1번이 낫다는 가정하에 결정을 해도, 정확히 1년후에 기억해서 비싼 요금제를 저렴한 요금제로 바꿀만한 여유가 사람들은 그렇게 많지 않다. 

 

제일 주목할점은 3번이다. 아무튼 공짜폰이던 할인을 받고 비싼 요금제를 쓰는 만큼 데이터무제한일테고 1년만 지나고 내가 원하는 요금제로 바꾸면 되지않냐???????????? 라는건 마치 내년에는 금연을 할것이다 라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다짐이다.

 

사람들은 망각의 동물이다. 내가 어떤 요금제를 선택했는지, 언제 개통했는지, 요금제를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는지,

다 까먹는다.

 

물론 전체를 일반화하는건 아니고 정말 현명하고 합리적인 소비자는 알아서 잘 하겠지만, 대개의 사람들은 요금제 약정기간이 끝났음에도 그냥 귀찮아서 해당 요금제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통신사대리점들도 이러한 심리적인 부분을 이용해서 공짜폰이던 사은품이던 현금이던 어떻게든 요금제가입을 시키려는 것이다. 

 

 

통신비 아끼는법

 

 

통신비 아끼는법은 정말 간단하다.

 

자급제(공기계) 일시불 구매 + 알뜰폰 요금제 가입

 

공기계는 잘 알아보고 인터넷에서 사도되고, 동서울 테크노마트에서 사도 되고, 중고나라에서 중고폰 구해도 된다.

요금제는 만약 통신비 절약에 관심이 있다면 알뜰폰은 필수다. (기존3사통신사 대비 가격절반 수준)

 

만약에 아이폰SE2를 산다고 해보자. 대충 출고가가 50으로 잡고 테크노마트에서 일시불로 긁었다.

물론 50이라는 목돈이 나가는건 가슴이 아프지만 영롱하고 빛나는 SE2의 자태를 보자니 마음이 조금 누그러질것이다.

 

그리고 USIM을 사서 직접 끼우고 알뜰폰 가입을 한다.

알뜰폰 홍보하려는게 아니라 내가 알뜰폰 사용자라서 진짜 이 부분은 안다. 알뜰폰 개꿀이다.

(데이터 무제한 3만원꼴, 데이터 4기가 1만원대 꼴)

 

대충 알뜰폰 2만원짜리 요금제를 가입한다는 조건이면 데이터 10기가는 받을것이다. (알뜰폰 요금제 이벤트를 잘 알아보자.)

 

그럼 이제 지출비를 알아보자.

 

아이폰SE2 공기계 50만원 + 매달 요금제 2만원

1년 기준 : 공기계포함 74만원 / 공기계제외 24만원

 

아까 호갱되는법의 1번의 지출비를 보면

 

핸드폰 공짜 + 매달 요금제 7만원

1년 기준 : 순수 요금제 84만원

 

순수 계산만 봐도 공기계에 알뜰폰이 압살한다.

그리고 호갱되는법 1번은 아주 구린 스마트폰일 확률도 높고, 1년이 지나도 계~속 비싼 7만원 요금제를 유지할 확률이 있다.

 

고로 답은 자급제공기계 + 알뜰폰이다!

 

댓글